개요
- 본 문서는 개발 및 서비스 구축을 위한 Ubuntu Linux Server 설치를 위한 가이드 이다.
Ubuntu 18.04 LTS (19 년 9월 현재 Latest 버전) 를 기준으로 한다.
VirtualBox 환경에 설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고 기타 설치 과정에서의 선택 사항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위주로 작성 한다.
Host System 이 Ubuntu Linux 인 환경에서 수행한다.
VirtualBox (Ubuntu, debian 용) 은 설치 된 상태 임을 산정한다.
OS Image Download
https://ubuntu.com/download 에서 Desktop 이 아닌 Server 를 선택하여 iso 이미지를 Download 받는다.
파일 정보를 확인해 보면 900M 가 조금 안되는 크기이다. (Desktop 버전은 4기가 정도의 크기)
VirtualBox 에 OS VM Image 생성
VirtualBox 설치 후 최초 화면.
NEW 를 눌러 새로운 VM 생성한다.
식별이 편한 VM 의 이름을 선정하고 생성될 VM 이미지의 위치를 선택한다.
type 과 Version 은 설치할 OS 와 가장 가까운 종류로 선택한다. (VirtualBox 자체에서 각 OS 종류에 맞는 튜닝 Profile 기능을 지원 하므로 정확한 OS 종류 선택으로 다소의 성능 향상을 기대 할 수 있다.)
선택 후 Next
메모리 설정.
Host System(VirtualBox 가 설치된) 의 전체 Memory 에서 얼마 만큼의 메모리를 해당 VM 에 할당할 것인지 선택
Ubuntu 의 경우 최소 2MB 설정을 해야 정상 동작 하며 4GB 정도 하면 원활하게 운용 할 수 있다. (일반적인 C 컴파일 개발 용도)
물론 VM 사용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그리고 Next….
지금바로 VM 디스크 생성.
지금바로 생성을 선택한다.
추후 선택 (Do not add a virtual hard disk )선택시는 생성 과정이 그대로 끝난다.
Next … 선택
몇가지 종류의 VM 이미지 포멧이 있지만 추후 다루기로 하고 여기서는 그냥 VDI (VirtualBox 표준 포멧) 을 선택한다.
Host System 에 Disk 가 여유가 있다면 Fixed size 를 권한다.
동적 할당의 경우 최소 사이즈 상태에서 필요시 마다 늘어나는 방식으로 디스크 절약에 도움을 주지만 디스크 확장 과 재배열 과정에서 다소간의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
VM 생성시 필요한 용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Ubuntu Server 는 최소 6GB 설치는 필요로 하며 최대 2TB 의 이미지 크기 까지 지원 가능 하다. (여기서는 30GB 로 Fix size 할당함.
Create 선택...
마무리 셋팅.
생성한 이미지는 좌측에서 선택 할 수 있으며
선택된 상태에서 Setting 을 통해서 마무리 설정을 할 수 있다.
Host System 의 CPU 중에 몇 Core 를 할당 할 CPU Core 수를 선택한다.
참고로 Linux 에서 Host Sytem 의 CPU Core 수 확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최소 2core 할당 권장. Host System Core 이상 할당은 추천하지 않음.
가상 IDE 장치에 다운로드 받은 ubuntu Server ISO 이미지를 추가한다.
그리고 OK...
생성된 VM Image 에 OS 설치
언어 및 Keyboard Layout 선택
설치 과정에서 어떤 언어를 사용할 것인지 묻는다.
한국어 를 사용 해도 상관 없지만 때로는 어휘가 더 헷갈리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Install Ubuntu Server” 선택
자주쓰는 (설치후 지원 언어) 를 묻는다.
Ubuntu Desktop 이면 몰라도 Server 는 그냥 English 로 기본 선택.
추후 한글이 필요해도 설치가 어렵지 않다.
키보드 Layout 은 그냥 그대로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 DHCP 환경에서는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IP 할당을 받는다. (Ubuntu 는 설치중에 Repository 로 부터 필요한 패키지를 내려 받기 위해 네트워크가 연결된 상태에서의 설치를 권장 한다.)
고정 IP 설정을 위해서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IPv4 혹은 IPv6 를 선택한다.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선택지에서 Manual 선택
선택후 필요 정보 기입 하고 저장 후 원래 화면(Network Configuration)으로 돌아 오면 됨.
Network Configuration 에서 Done.
Proxy Server 사용 하지 않는다면 그냥 Done.
설치 과정에서 필요한 패키지를 네트워크로 내려 받기 위한 미러 사이트 설정 확인
특별한 일이 없다면 그냥 Done.
Disk Partition 설정.
[Use An Entire Disk] 를 선택하면 알아서(swap 과 root 정도만 잡고) 설치 하지만 사용 용도에 따라 혹은 관리의 편리를 위하여 직접 파티션을 설정 해 줄 수도 있다.
Filesystem setup 화면에서 Manual 선택하면 아래의 화면과 같이 설치 가능 디스크가 보이고 해당 디스크에 대해서 파티션 추가 가능함.
[Add Partition] 선택하면 아래의 화면과 같이 해당 파티션의 크기와 파일 시스템 종류 , 마운트 위치 등을 설정 할수 있다. 설정 완료 후 Create.
위와 같은 방법으로 파티션을 하나씩 생성 해서 아래 그림과 같이 혹은 유사하게 되도록 설정 하면 된다.
기본 사용자 추가
기본 사용자는 /etc/sudor 파일에 정의 하지 않아도 기본 적으로 sudo 명령을 통하여 root 권한으로 명령어 실행이 가능한 계정.
ubuntu, CentOS7, SunOS11 등은 root 에서 직접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서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적용된 계정 인듯. (신규 Unix 계열 OS 에 확산될듯)
Your name (별명같은), 서버명 , 사용자명 ,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이 과정동안 백그라운드로 설치는 계속 진행되고 있음.
SSH Server 설치
설치 해도 되지만 완전 설치후 apt 설치 하는 것을 권함.
서버 Snapshot 관리
서버 Snapshot repository 같은데 추후 조사해서 문서 갱신 예정
그냥 Done
서버 설치 끝
리붓 후 사용 하면 됨
root 사용자 활성화